오늘은 여러분의 블로그에 방문하는 사람들은 누구이고, 어떤 콘텐츠에 관심을 보이는지 파악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를 Hugo Blowfish 테마에 적용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왜 필요할까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것은 단순히 글을 쓰고 발행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방문객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들어오는지, 어떤 페이지를 가장 많이 보는지, 얼마나 오래 머무는지 등을 파악해야 독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웹사이트를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이러한 방문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무료 서비스입니다. 마치 웹사이트의 내비게이션처럼, 방문객의 행동 패턴을 보여주어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알려줍니다.
시작 전 준비사항: 구글 애널리틱스 측정 ID 발급받기#
Hugo에 구글 애널리틱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측정 ID’라는 것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 ID는 우리 웹사이트를 구글 애널리틱스가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값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접속 및 로그인#
구글 애널리틱스 공식 페이지 에 접속하여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계정 및 속성 생성:#
- 처음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측정 시작’을 클릭하여 계정을 만듭니다. 계정 이름은 회사나 개인 이름 등 식별하기 쉬운 이름으로 정합니다.
- 다음으로 ‘속성’을 만들어야 합니다. 속성은 우리가 분석하고자 하는 웹사이트나 앱을 의미합니다. 속성 이름에는 웹사이트 이름을 입력하고, 보고 시간대와 통화를 대한민국 기준으로 설정합니다.
- 비즈니스 정보를 입력합니다. 개인 블로그이니 “작음"을 선택합니다.
- 비즈니스 목표를 선택합니다. 저는 아래 두 항목을 선택하였습니다.
- 웹 또는 앱 트래픽 파악
- 사용자 참여 발생 시간 및 유지율 보기
- 웹’을 플랫폼으로 선택하고 웹사이트의 URL을 입력합니다.
데이터 스트림 및 측정 ID 확인:#
- 속성 생성을 완료하면 ‘데이터 스트림’ 설정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방금 생성한 웹 스트림을 클릭하면 ‘측정 ID’가 표시됩니다. ‘G-‘로 시작하는 이 ID를 복사해 둡니다.
Hugo Blowfish 테마에 구글 애널리틱스 적용하기#
이제 발급받은 측정 ID를 여러분의 Hugo 웹사이트에 적용할 차례입니다. Blowfish 테마는 Hugo의 기본 기능을 잘 지원하고 있어 설정이 매우 간단합니다.
설정 파일 열기: 여러분의 Hugo 프로젝트 폴더에서 config/_default/hugo.toml
파일을 엽니다.
hugo.toml
파일이 없는 경우, config.toml
파일을 확인합니다.측정 ID 추가: hugo.toml
파일의 맨 아래에 다음 한 줄을 추가합니다. 복사해 두었던 여러분의 측정 ID를 붙여넣으십시오.
googleAnalytics = "G-XXXXXXXXXX"
G-XXXXXXXXXX
부분에는 반드시 본인의 측정 ID를 입력해야 합니다.변경사항 저장 및 웹사이트 빌드: 파일을 저장한 후, 변경사항을 웹사이트에 반영합니다.
로컬 환경에서 확인하려면 터미널에서
hugo server
명령어를 실행합니다.웹사이트를 실제 서버에 배포하는 경우, 변경된 파일을 Git에 푸시(push)하는 등의 배포 절차를 진행합니다.
적용 확인: 실시간 방문자 데이터 보기#
설정이 올바르게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접속: 구글 애널리틱스에 다시 접속합니다.
실시간 보고서 확인: 왼쪽 메뉴에서 ‘보고서’ > ‘실시간’으로 이동합니다.
웹사이트 접속 및 데이터 확인: 이제 여러분의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해 보십시오. 잠시 후 실시간 보고서의 ‘지난 30분간의 사용자’ 수가 1 이상으로 표시되면 성공적으로 연동된 것입니다.
마무리#
이제 여러분은 자신의 웹사이트 방문자에 대한 귀중한 데이터를 얻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꾸준히 데이터를 관찰하고 분석하며 방문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해 보십시오. 여러분의 웹사이트가 한 단계 더 성장하는 데 훌륭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주저하지 말고 관련 커뮤니티나 공식 문서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