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Ubuntu 서버에 홈어시스턴트 설치 가이드’ 글에 이어서 초기 설정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홈어시스턴트 설치를 마치고 처음 접속하면, 여러분의 스마트 홈을 위한 몇 가지 기본 설정 과정이 시작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관리자 계정을 만들고, 집의 위치를 설정하며, 첫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게 됩니다.
웹 브라우저로 접속#
가장 먼저, 홈어시스턴트가 설치된 장치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PC나 스마트폰에서 웹 브라우저를 열어주십시오. 주소창에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합니다.
접속 주소: http://[홈어시스턴트가 설치된 장치의 IP 주소]:8123
(예: http://192.168.1.10:8123
)
관리자 계정 생성#
초기 접속 시 가장 먼저 보게 될 화면은 관리자 계정을 만드는 페이지입니다. 이 계정은 앞으로 홈어시스턴트의 모든 설정을 관리할 최고 권한을 갖게 됩니다.
- 이름: 사용할 사용자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
홍길동
) - 사용자 이름: 로그인 시 사용할 ID를 입력합니다. (예:
gildong
) - 비밀번호 및 비밀번호 확인: 시스템 접근에 사용할 강력한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 정보를 모두 입력한 뒤 [계정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지역 설정 및 정보 공유#
다음으로 홈어시스턴트가 정확한 시간과 위치 기반 자동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 위치를 설정합니다.
[다음] 을 눌러 계속 진행합니다.
익명 정보 공유 설정#
이 단계에서는 홈어시스턴트 개선을 위해 익명의 사용 통계, 진단 정보 등을 공유할지 선택합니다. 이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정보 공유에 동의하지 않아도 홈어시스턴트의 모든 기능을 사용하는 데 아무런 제약이 없습니다.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기기 검색 및 추가#
이제 홈어시스턴트가 자동으로 여러분의 네트워크 안에서 호환되는 스마트 기기들을 검색합니다.
화면에 자동으로 검색된 기기와 서비스 목록이 나타납니다. 목록에 나타난 기기는 바로 설정하거나, [완료] 버튼을 눌러 이 단계를 마치고 나중에 수동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 구성하기#
초기 설정을 완료하면 홈어시스턴트의 메인 화면인 대시보드로 이동합니다. 이곳은 모든 스마트 기기를 한눈에 보고 제어하는 관제탑과 같습니다.
- 초기 상태: 처음에는 기본적인 정보만 표시되거나 비어있을 수 있습니다.
- 편집 모드: 우측 상단의 점 3개 메뉴 버튼을 누르고 [대시보드 편집] 을 선택하면, 대시보드를 자유롭게 꾸밀 수 있습니다.
- 카드 추가: 편집 모드에서
(+) 카드 추가
버튼을 눌러, 연동된 기기(조명, 센서, 스위치 등)를 제어하거나 상태를 표시하는 다양한 위젯(카드)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기기들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자신만의 맞춤형 리모컨을 만들어 보십시오.
마무리하며#
이상으로 홈어시스턴트의 초기 설정부터 기본적인 대시보드 구성까지의 전 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스마트 홈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준비를 마쳤습니다.
처음에는 몇 개의 기기만으로 시작하겠지만, 점차 다양한 장치를 추가하고 자동화를 설정하면서 이 대시보드는 점점 더 강력하고 편리한 여러분만의 공간으로 발전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