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Go 언어 시작하기: 개념부터 개발 환경 구성까지

·438 words·3 mins
미뇽
Author
미뇽
안녕하세요! 기술로 세상을 이롭게 만들고 싶은 개발자 미뇽입니다.
Table of Contents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성능과 안정성, 그리고 생산성은 매우 중요한 가치입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2009년 구글(Google)이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 Go에 대해 소개하고 개발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까지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Go 언어는 C++이나 Java와 같은 기존 언어들의 복잡성은 줄이면서, 높은 성능과 안정적인 동시성 처리를 목표로 만들어졌습니다. 단순하고 명확한 문법을 가지고 있어 배우기 쉽고, 컴파일 방식 언어라 실행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Go 언어의 핵심 장점
#

Go 언어는 다음과 같은 명확한 장점 덕분에 서버, 클라우드, DevOps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빠르게 채택되고 있습니다.

뛰어난 동시성(Concurrency) 지원
#

고루틴(Goroutine) 이라는 매우 가벼운 경량 스레드를 통해 수천, 수만 개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보입니다. 이는 현대 멀티코어 프로세서 환경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빠른 컴파일과 실행 속도
#

코드를 기계어로 직접 변환하는 컴파일 언어이므로 실행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또한, 컴파일 속도 자체도 다른 컴파일 언어에 비해 월등히 빨라, 코드를 수정한 후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이 신속하여 개발 생산성이 높습니다.

단순하고 명확한 문법
#

언어 사양에 포함된 키워드가 25개뿐일 정도로 문법이 매우 간결합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쉽게 이해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게 하는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강력한 표준 라이브러리 및 도구
#

웹 서버, 암호화, 입출력(I/O) 등 네트워킹과 관련된 강력한 기능들이 표준 라이브러리에 내장되어 있어 외부 라이브러리에 대한 의존도가 낮습니다. 또한, go fmt(코드 서식 자동 정리), go test(테스팅) 등 개발 효율을 높이는 필수 도구를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Go 언어 개발 환경 구성하기
#

Go 언어 개발 환경 구성은 아래의 세 단계만으로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습니다.

Go 공식 배포판 설치
#

공식 Go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운영체제(Windows, macOS, Linux)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설치 프로그램이 시스템 환경 변수까지 자동으로 설정해 주므로 추가 작업이 필요 없습니다.


#mac
brew install go

설치 확인
#

설치가 완료되면, 터미널(Windows에서는 PowerShell 또는 명령 프롬프트)을 열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버전 정보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합니다.

go version

go version go1.22.5 windows/amd64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면 성공적으로 설치된 것입니다.

코드 에디터 및 확장 프로그램 설치 (VS Code 추천)
#

**Visual Studio Code (VS Code)**를 코드 에디터로 사용하는 것을 가장 추천합니다.

  1. VS Code를 설치한 후 실행하고, 왼쪽의 확장 프로그램(Extensions) 탭으로 이동합니다.

  2. 검색창에 Go 를 검색하여 Go team at Google이 제작한 공식 Go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3. 확장 프로그램 설치 후, .go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처음 열면 VS Code 오른쪽 하단에 관련 도구들을 설치하라는 알림이 나타납니다. [Install All] 버튼을 클릭하여 gopls(언어 서버), dlv(디버거) 등 필수 도구들을 모두 설치합니다.

이 세 단계를 모두 마쳤다면, 여러분의 컴퓨터에서 Go 언어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모든 준비가 완료된 것입니다.

마무리하며
#

이제 현대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매우 적합한 Go 언어의 개발 환경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Go의 단순함과 강력함을 직접 경험해 보며,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구현해 보시길 바랍니다.


참조